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ngular
- Linux
- 투자
- 보안
- 주식
- strongloop
- game
- 시장
- Three
- Docker
- 젤다 왕눈
- ps4
- PC
- threejs
- 블록체인
- 탈중앙화
- 스마트 컨트랙트
- review
- 이더리움
- 암호화폐
- 스마트 계약
- 게임
- 비트코인
- kubernetes
- loopback
- 쿠버네티스
- 리뷰
- 부동산
- Games
- 거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75)
BaeBox
https://ko.wikipedia.org/wiki/RAID RAID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혹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디스크 어레이(disk array)라고도 한다. 데이터를 나누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 방법들을 레벨이라 하는데, 레벨에 따라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ko.wikipedia.org https://namu.wiki/w/RAID RAID - 나무위키 아래로 갈수록 성능과 안정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N4Pd/btqzyXwiyof/0IOrg91q5Fm1NVBOAf5Jtk/img.jpg)
OSINT : Open Source Intelligence 공개된 출처에서 얻은 정보들을 말한다. 나야 이 얘기를 (컴퓨터 분야에서) 일하면서 듣게 되어 컴퓨터 용어인줄 알았는데, 꼭 그런 건 아니다. Riss4u 같은 곳에 공개된 논문들도 OSINT 의 한 종류이다. 위키백과, 나무위키 같은 곳도 OSINT 라고 볼 수 있다. HUMINT, SIGINT, IMINT, MASINT, TECHINT 등 정보의 원천 내지는 그 source 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저렇게 부른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8B%A0%ED%8A%B8 오신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개출처정보(公開出處情報, 영어: open source..
MIME 타입이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인지 알려주기 위한 데이터이다. 타입 설명 예시 text 텍스트를 포함하는 모든 문서를 나타내며 이론상으로는 인간이 읽을 수 있어야 함. text/plain text/html text/css text/javascript image 모든 종류의 이미지를 나타냄. image/git image/png image/jpeg image/bmp image/webp audio 모든 종류의 오디오 파일 audio/midi audio/mpeg audio/webm audio/ogg audio/wav video 모든 종류의 비디오 파일 video/webm video/ogg application 모든 종류의 이진 데이터. (binary) application/oc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qMe4/btqzyhok2J6/KgfXrt1Olzx1Py591cxU8k/img.png)
Monolithic architecture :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안에 모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구조. 구조가 단순해 개발과 배포가 간편. Micdro Service Architecture :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단독으로 실행 가능한 다수의 모듈로 분해한 아키텍처. 이 때 실행 간으한 하나의 모듈을 마이크로 서비스라고 한다. 하나의 독립적인 프로세스 개발과 배포에 상호 독립적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각자 가진 네트워크 기능으로 통신 공유 자원 접근의 어려움 분산 시스템 구현의 어려움 분산 아키텍쳐의 토폴로지 버스형 전체 노드가 하나의 공통 연결선에 연결된 구조 트리형 여러 버스 토폴로지를 결합하 구조 링형 부하가 집중되는 노드가 없어 병목이 발생하지 않으나, 한 노드의 장애가 전체 장애로 이어짐 성형 중앙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GswH/btqzAjyqGid/NK8kyrGn3kPTXqkxq6Wdk0/img.gif)
// 자기 기술적이므로 자신이 xml 임과 utf-8 포맷 인코딩을 사용하는 것을 명시. //root Everyday Italian//leaf Giada De Laurentiis 2005 30.00 Harry Potter J K. Rowling 2005 29.99 Learning XML Erik T. Ray 2003 39.95 attributes XML 은 HTML처럼 속성 값을 가질 수 있다. 특정한 요소와 데이터가 연관되어 있을 때 사용 name conflict 태그명은 개발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2 개의 xml 을 같이 사용할 경우 name conflict 가 발생 가능 name prefix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음. (ex. f:table, h:table) XML namespace X..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3h2T/btqzANeXX3B/KFt6lxn34O7lWrWMHt43Z0/img.p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해 고안된 언어 self-descriptive (자기 기술적) 인 언어. 보내는 사람이 누군지 받는 사람이 누군지 헤딩이 존재(메타데이터) -> 내용이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기술하기 위한 데이터 내용이 존재 XML 은 그 자체로는 동작하지 않음. 그저 정보를 저장하는 구조체이다 사전에 정의된 태그가 존재치 않는다. (HTML 과는 다르게.) 확장이 가능하다. 데이터를 추가 가능 XML 은 데이터를 Plain test 로 저장하기 때문에 hard/software 에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전송 가능. (감히) 생각컨대, 색을 입힌 친구들만 봐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ts8J/btqzAMNTUJ3/XwLdVsNHcQKiekUOI2kfm1/img.png)
Axios : Promise 기반으로 HTTP 요청을 날려주는 툴 Promise based HTTP client for the browser and node.js 사용법은 아주 간단하다. 위의 방식으로 요청을 날리면 된다. 리턴되는 객체는 Promise 이므로 async 와 사용하면 매우 좋다. 요청에 줄 수 있는 옵션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npmjs.com/package/axios axios Promise based HTTP client for the browser and node.js www.npmjs.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o4BP/btqzAWJvPgW/lk9WBk2AXsgK2oYyRqMwzk/img.png)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굉장히 멋져보이는 방법이 있어서 따로 글을 쓴다. 아마 나만보겠지. axios 등 쟁쟁한 친구들도 많지만, 난 왠지 이게 이쁜 거 같다. 나중에 기회되면 다른애 말고 이친구도 꼭 써봐야징. 덤. 일반 HTML 에서는 태그 쓰고 사용할 땐 그냥 써도 된다. Node 의 경우에는 패키지를 설치해야 사용 가능하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Fetch_API/Fetch%EC%9D%98_%EC%82%AC%EC%9A%A9%EB%B2%95 Using Fetch Fetch API를 이용하면 Request나 Response와 같은 HTTP의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요소를 조작하는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fetch() 메서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비..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Array/slice Array.prototype.slice() slice() 메서드는 어떤 배열의 begin부터 end까지(end 미포함)에 대한 얕은 복사본을 새로운 배열 객체로 반환합니다. 원본 배열은 수정되지 않습니다. developer.mozilla.org 그냥 포문을 돌려도 되지만, Array.slice(0, Array.length) 를 이용해서도 복사할 수 있다. console.log(Array === Array.slice(0, Array.length)) 위의 코드를 통해 복사한 배열이 기존 배열과 같은지 확인할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tWWm/btqzyYPygA8/5uQlnhUQkB6cmjJOzDKJu1/img.png)
이게 뭐라고... 매번 까먹는다. 근데 검색하기는 애매해서 매번 찾을때마다 개고생한다. 그래서 적는다.